참조. PECL:memcache
common.php에서 세션에 관련된 부분을 아래처럼 수정
// 사용할 session 형태를 지정 합니다. db. memcache. file - 3종 입니다
switch ($g4['session_type']) {
case "db" :
include_once("$g4[path]/lib/dbsession.lib.php");
$session = new g4_dbsession();
session_set_save_handler(array($session, 'open'),
array($session, 'close'),
array($session, 'read'),
array($session, 'write'),
array($session, 'destroy'),
array($session, 'gc'));
break;
case "memcache" :
$session_save_path = "tcp://$g4[mhost]:$g4[mport]?persistent=1&weight=2&timeout=2&retry_interval=10, ,tcp://$$g4[mhost]:$g4[mport] ";
ini_set('session.save_handler', 'memcache');
ini_set('session.save_path', $session_save_path);
break;
default :
// 그누보드 기본 세션관리
session_save_path("{$g4['data_path']}/session");
}
config.php에서 설정을 수정
// 사용할 session 형태를 지정 합니다. db. memcache. file - 3종 입니다
// memcach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ECL:memcache를 설치해야지 합니다.
$g4['session_type'] = "memcache";
// memcache 사용할때의 설정
$g4['mhost'] = "localhost";
$g4['mport'] = "11211";
* 세션 서버가 다른 장비인 경우에는 $g4[mhost]에 해당 서버의 ip를 넣어주면 됩니다.
- opencode.co.kr -
״ ⺻ 3ðε, ׳ θ 3ðĿ αƿ ˴ϴ.
memcache ϱ , ̿ Ȯϴ Ʊ Դϴ.
Ҵ ⺻ noSQL redis Դϴ.